1. 접근을 허용한 group 생성
2. /etc/group 파일을 열어 특정 그룹의 su 접근 계정 추가.
3. su 소유권 변경
4. su 퍼미션 변경
5. ssh 데몬 재시작
위 방법으로 하나하나 설명해보면
$ addgroup sugroup
$ vi /etc/group
=> sugroup:x:1000:root,(su 접근 계정)
: ex) sugroup:x:1000:root => sugroup:x:1000:root,testuser
위와 같이 수정 후 저장한 다음에 su의 소유권과 퍼미션을 변경한다.
$ chown root:sugroup /bin/su
-rwxr-xr-x 1 root sugroup 44444 1월 11 2011 su
$ chmod 4110 /bin/su
---s--x--- 1 root sugroup 44444 1월 11 2011 su
su의 소유권과 퍼미션을 변경한 다음 "service sshd rstart" 혹은 "/etc/init.d/sshd restart"로 ssh 데몬을 재시작 하면 해당 그룹의 사용자만이 su접근을 할 수 있다.
추가적으로 다른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를 su로 추가할 경우 usermod를 통해 사용자 그룹을 추가한 이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가하면 된다.
$ groups [username] => 소속된 그룹확인
$ usermod -G enwgroup [username] => 그룹 지정
$ id [username] = 해당 id의 속성 확인
'ººº::Development™:: > ::Linux™::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DAP] openLDAP 설치 및 Database (0) | 2011.06.21 |
---|---|
[LDAP] LDAP 시작하기 (0) | 2011.06.21 |
[Linux] ssh root 접근 금지 (0) | 2011.04.05 |
[Linux] umount시 device is busy (0) | 2010.05.17 |
[Cluster] rsh 설치 및 설정하기 (0) | 2010.04.08 |
연구소에서도 이러한 문제로 관리하고 있는 모든 서버의 ssh로의 root접근을 제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. 그래서 또다시 기억하고지 아래와 같이 정리를 해본다.
1. /etc/ssh/sshd_config 파일 수정
2. PermitRootLogin을 no로 수정
3. sshd 데몬 restart
vi editor를 통해 /etc/ssh/sshd_config 파일을 열어서 PermitRootLogin 항목을 찾는다. #을 통해 주석처리가 되어있으면 아래와 같이 주석을 해제하고 값을 no로 설정해 준다.
#LoginGraceTime 2m
#PermitRootLogin yes
#StricModes yes
#MaxAuthTries 6
수정 후
#LoginGraceTime 2m
PermitRootLogin no
#StricModes yes
#MaxAuthTries 6
위와 같이 수정 후 저장한 다음 "service sshd restart" 혹은 "/etc/init.d/sshd restart" 로 ssh 데몬을 재시작 해주면 끝
위와 같이 sshd_config 설정을 해놓으면 ssh로 root접근이 제한되고 일반 계정으로 접속하여 "su -"를 통해 root접근을 해야만 한다.
'ººº::Development™:: > ::Linux™::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DAP] LDAP 시작하기 (0) | 2011.06.21 |
---|---|
[Linux] 특정 계정만 su -(root)를 통한 root접근 허용 (0) | 2011.04.05 |
[Linux] umount시 device is busy (0) | 2010.05.17 |
[Cluster] rsh 설치 및 설정하기 (0) | 2010.04.08 |
[Cluster] #1 Cluster 만들기 - 설치 (0) | 2010.04.01 |
SSH의 Root접근 제한은 보안상 문제로 슈퍼 User의 접근을 Local 계정의 접근 이후 su 명령어를 통해 접근하도록 한다. 이유는 어느 계정을 통해 슈퍼 User로 접근했는지를 알기 위해서라고 한다.!!( 어디서 주워들은 얘기 ) 그래야 누가 무엇을 건드렸는지 유추해 내가 편하기 때문에~~^^
# Authentication:
#LoginGraceTime 2m
PermitRootLogin no
#StrictModes yes
#MaxAuthTries 6
vi에디터를 통해 sshd_config 파일을 열고 PermitRootLogin 옵션을 no로 설정한다. 기본은 yes의 #으로 주석처리가 되어있을 것이다.!
위와같이 변경하고 ssh데몬을 restart해주면 이후부터 root의 접근이 제한된다.!
'ººº::Development™:: > ::Linux™::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luster] rsh 설치 및 설정하기 (0) | 2010.04.08 |
---|---|
[Cluster] #1 Cluster 만들기 - 설치 (0) | 2010.04.01 |
[Tip] 하나의 LanCard에 여러 아이피 Setting (0) | 2010.03.01 |
[Samba] Samba mount #2 (2) | 2009.11.06 |
[Linux] Samba mount (0) | 2009.09.01 |